R's Note

Gateway 이중화 기법 - FHRP 본문

Network/기초

Gateway 이중화 기법 - FHRP

Nenlin2 2015. 3. 26. 17:12
  • G/W이중화 Protocol(FHRP:First Hop Redundancy Protocols) 종류
  • HSRP
  • VRRP
  • GLBP

 

  • G/W 이중화의 목적
    • G/W 죽었을 경우 다른 장비로 대체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꿔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수동으로 처리하지 않고 사용자는 아무런 조취를 취하지 않아도 동작가능하게 하는 기술.
    • Virtual G/W IP 이용하여 G/W주소 변경 없이 사용가능.

(IPSec VPN에서 Direct encapsulation 사용하기도함.)

 

  • HSRP(Hot Standby Router Protocol)
    • cisco 전용 프로토콜.
    • ver 1 : default 동작 / 224.0.0.2 사용 / group범위 0~255
    • ver 2 : option 통해 동작 / 224.0.0.102 사용 / group 범위 0~4095

(multicast 주소는 router간의 active협상을 위해 사용.)

*Tip : CGMP, IGMP (multicast 관련 protocol) 224.0.0.2 사용해서 HSRP_v1 동일하여 혼동의 소지가 있어 같이 사용불가. 하지만 거의 CGMP는거의 사용안함.

  • Active 선정 우선순위
    1. Priority (우선순위) 높은 쪽이 active . 기본값 100
    2. Priority값이 같을 경우 IP 숫자가 쪽이 active .
  • Ver1 0000.0c07.acXX의 Virtual MAC 사용함.
  • Ver2 0000.0c9f.f0XX Virtual MAC 사용함.

HSRP(hot standby router protocol)

:상시 대기 라우터 프로토콜(cisco방식!)

 

*설정법. (해당 게이트웨이의 IP 있는 Interface에서 설정)

(group번호는 같은 번호를 사용해야 하며 보통 vlan의 번호로 하는것이 좋다.)

 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ip [Virtual router IP]        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priority [priority값(우선순위값)]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preempt        //선점명령어

coi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preempt delay minimum [딜레이시간]        //선점을 뺃어올때 딜레이를 줄경우 가급적 45초 이상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authentication [인증키]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인증설정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timers msec [hello 주기] msec [hold 주기]

//생략시 기본값.  hello 3 hold 10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version [버전]        //버젼 변경

config-if)#standby [group번호] track [인터페이스] [priority감소값]

//(priority감소값은 생략시 기본값 10)

 

  • GNS 오류시 해결방법
    • Track 걸려 있는 인터페이스를 shutdown 통해 UP/Down시킨다

 

 

*확인명령어

#show standby brief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HSRP 정보 간략하게 보기

#show standby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HSRP 정보 자세하게 보기

*IPv6 설정

standby version 2 //HSRP version 2으로 설정

standby ipv6 [Virtual router IP | autoconfig]

이후 다른 설정은동일.

 

*기타 주의사항

  • active 우선순위는 priority 가 높은것이 우선! 만약 같을 경우 IP가 높은 것이 우선순위가 높다.
  • active router전환의 경우 ARP 날려서 switch GratuitousARP 날려서 해당 mac-table 수정함.
  • 인증(authentication) 설정 안할 경우 hsrp router 위조하여 HSRP active 탈취할 있음.

인증이 맞지않거나 공격시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출력됨.

시스템 생성 대체 텍스트:

  • MHSRP(Multiple HSRP) 설정.
    • group 나눠 여러개의 HSRP 동작시켜 부하분산 시킴.
  • VRRP(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)
    • 표준 프로토콜.
    • active == master , standby == backup
    • 실제 IP 가상장비의 IP 사용할수 있다 그럴때 해당장비는 Owner장비가 .
    • 자체적으로 track기능은 없고 외부의 track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.
    • 기본적으로 장비간에 timer 맞춰줘야한다. (아닐경우 timer learn 옵션을 양쪽에 옵션에 시켜야함.)
    • Owner설정법 가상 IP router IP 줄경우 Owner장비가 된다.
    • 00-00-5E-00-01-XX Virtual MAC 사용함.
    • 나머지는 HSRP 동일

*설정법. (해당 게이트웨이의 IP 있는 Interface에서 설정)

(group번호는 같은 번호를 사용해야 하며 보통 vlan의 번호로 하는것이 좋다.)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ip [Virtual router IP]        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priority [priority값(우선순위값)]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preempt        //선점명령어(생략시 기본값)

coifig-if)#vrry [group번호] preempt delay minimum [딜레이시간]        //선점을 뺃어올때 딜레이를 줄경우 가급적 45초 이상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authentication [인증키]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인증설정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timers msec [hello 주기] msec [hold 주기]

//생략시 기본값 hello msec 1 hold time 3

config-if)#vrry [group번호] track [외부 track번호] decrement [priority감소값] //(priority감소값은 생략시 기본값 10)

 

*확인 명령어.

#show vrrp brief //

#show vrrp //자세하게 확인.

 

  • HSRP VRRP 차이점
    • VRRP 실제 장비의 IP Virtual IP 사용가능하다. (Owner기능)
    • HSRP active hellotime 자동으로 따라가나 VRRP 일치하지 않으면 협상을 하지 않는다.
    • HSRP track기능이 자체적으로 존재 VRRP 자체적으로 track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.

 

  • GLBP(Gateway Load Balancing Protocol)
    • 게이트웨이 부하분산 프로토콜
    • CISCO전용 프로토콜.
    • 224.0.0.102 multicast 사용 (HSRPv2 같이 사용불가.)
    • AVG(Active Virtual Gateway) : 분배자 역활 GARP switch 게이트웨이를 매칭시킴.
      • AVG 선출 우선순위
        1. Priority 높은것.
        2. IP 높은것.
    • AVF(Active Virtual Forwarder) : 분배받아서 실제 동작하는 녀석들.
    • 1개의 가상 IP 4개의 가상의 MAC주소가 사용.(?!)
    • weight값이 존재 weight값은 AVF 동작가능여부 부하분산에 사용함.

(weight값의 lower(동작못하는 .)이하로 내려가면 AVF 다른 장비에게 넘겨줌.)

  • Load-balancing 지원 종류
    • round-robin : 기본값, 번갈아가면서 전달.
    • weighted : 가중치를 기준으로 전달
    • host-dependent :  host(소스)을 기억했다가 장비에 따라 전달.

 

*설정법. (해당 게이트웨이의 IP 있는 Interface에서 설정)

glbp 1 ip (virtual gateway IP)

glbp 1 priority (priority AVG계산에 사용)

glbp 1 preempt delay minium 30 !AVG 넘겨줄때 딜레이값.

glbp 1 weighting 100 lower 90 upper 100 !AVG에 관한 설정.

glbp 1 weighting track 5 decrement 50 ! decrement값 생략시 기본값 10

glbp 1 forwarder preempt delay minium 30 !AVF 넘겨줄때 딜레이값.

glbp 1 load-balancing {round-robin | host-dependent | weighted}  !기본값 round-robin

 

*확인명령어.

#show glbp brief !//간략하게 보기

 

시스템 생성 대체 텍스트:
Inte「faCe
체■les
p Fwd
Fal
Fal
Fal
Fal
Prl
130
AddreSS
1.1.200.254
0007.b400.0101
0007.b400.0102
0007.b400.0103
ACt1Ve
rotlter standby「outer
OC
0〔
1.1.200.252
1.1.200.252
1.1.200.253
-12하」
r
Gllll
/0/O/O/0·’-

맨처음 정보는 AVG 대한 정보 아래 나머진 AVF 대한 정보들.

 

#show glbp !//자세히 보기

'Network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  (0) 2015.08.17
SVI,routing protocol  (0) 2015.08.17
DHCP  (0) 2015.03.26
VLAN(Virtual Local Area Network)  (0) 2015.03.26
OSI 7 Layer  (0) 2015.03.26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