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nendoroid859
- Nendoroid
- ねんどろいど
- FGO
- GoodSmile
- It
- nendoroid957
- 넨드로이드
- Cisco
- Sucy
- 메이드인어비스
- 넨도
- 리틀위치아카데미아
- Jeanne d'Arc (Alter)
- ジャンヌ・ダルク〔オルタ
- 잔느얼터
- ATSUKO
- アヴェンジャー
- 넨도로이드
- NendoroidReview
- 넨도로이드리뷰 Nendoroid
- CCNA
- Network
- Fate/Grand Order
- nendoroid835
- madeinabyss
- 넨도리뷰
- 페그오
- littlewitchacademia
- nendoroid766
- Today
- Total
목록Network/참고 (5)
R's Note
윈도우에서 cmd 프롬프트로 IP 변경하기. + bat파일로 변경하기. ::불필요한 표시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.@echo off ::타이틀 수정 코드title 아이피 변경 프롬프트 ::콘솔 프롬프트 창 크기 설정::mode con cols=70 lines=30 ::메인 부분 goto 표기:main_ ::변수로 사용하기 위한 환경변수 선언 및 초기화 부문set _if_name="이더넷 2"set _ip=set _subnet=255.255.255.0set _gw= ::변수에 대한 값의 입력 받는부문. set /p 을 사용하여 프롬프트에서 입력하는 값을 변수에 저장.set /p _ip=변경 할 아이피를 입력해주세요:set /p _subnet=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해주세요(입력 안하고 enter시 /24):set..
Console application command에 아래와 같이 입력 OS가 32 bit의 경우"C:\Program Files\NetSarang\Xshell 5\xshell.exe" -url telnet://%h:%p OS가 64 bit의 경우"C:\Program Files (x86)\NetSarang\Xshell 5\xshell.exe" -url telnet://%h:%p
시스코 장비의 시리얼은 보통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죠 FOC1050YOR6 먼저 FOC(세글자/알파벳)는 지역코드입니다. 생산된 공장의 정보를 표기합니다. 만약 FOC 라고 되어 있다면 폭스콘 차이나를 뜻하구요. 시스코가 어느지역 어느 공장에서 하청을 줘서 만들었는지 알수 있지만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아보입니다. 10(두글자/숫자)는 생산년도 입니다. 01 = 1997 02 = 1998 03 = 1999 04 = 2000 05 = 2001 06 = 2002 07 = 2003 08 = 2004 09 = 2005 10 = 2006 11 = 2007 12 = 2008 13 = 2009 14 = 2010 15 = 2011 16 = 2012 17 = 2013 18 = 2014그냥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 -4를 ..
HostsNetmaskAmount of a Class C/312255.255.255.2541/128/304255.255.255.2521/64/298255.255.255.2481/32/2816255.255.255.2401/16/2732255.255.255.2241/8/2664255.255.255.1921/4/25128255.255.255.1281/2/24256255.255.255.01/23512255.255.254.02/221024255.255.252.04/212048255.255.248.08/204096255.255.240.016/198192255.255.224.032/1816384255.255.192.064/1732768255.255.128.0128/1665536255.255.0.0256/1513107..
MDI(medium dependent interface) (Uplink 용도)MDI-X(medium dependent interface Crossover) (Nomal 일반적인 용도) MDI/MDI-X (Auto MDI-X) MDI vs MDI-X 의 연결일 경우 보통의 경우엔 Cross케이블을 연결해야 하지만 Auto MDI-X 기능을 지원하는 Port의 경우엔 굳이 Cross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송방식을 변경하여 원할하게 통신이 가능하게 해주는 편리한 기술...! 참고 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Medium-dependent_interface